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

한국의 폐암의 특징과 위험 요인

폐암은 대표적인 흡연 관련 암종으로 흡연과 폐암의 관련성은 1930년대부터 알려졌으나 대중적으로 유해성이 인지된 것은 1964년 미국 공중보건책임자 보고서가 주요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 보고서에 근거하여 담배광고 금지, 담배세 인상, 비흡연자 권리신장운동 등이 진행되었고 치솟던 폐암 사망률이 1990년대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였습니다. 한국에서도 1986년부터 금연정책이 시행되고 1995년 국민건강증진법이 시행되면서 1992년에 72%에 달했던 남성 성인 흡연율이 2013년에는 42%까지 떨어지는 극적인 감소를 보였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 남성의 폐암 발생률과 사망률도 감소하고 있으나 폐암은 여전히 사망률 1위를 보이는 암종입니다 한국에서는 시범사업을 거쳐 2019년도부터 만 54세 이사 74세 이하 중 30갑년 이상의 흡연력을 가진 고위험군에 대해 2년마다 저선량흉부CT검사로 폐암 국가암검진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폐암의 발생률

국제암연구소의 추정에 의하면 폐암은 2020년에 전세계적으로 약226만명이 새로 진단을 받아 발생 건수로는 유방암에 이어 두번째로 호발하는 암종이며, 아시아 지역에서 가장 많은 환자가 발생하는 암입니다.. 한국 중앙암등록본부의 암등록통계에 따르면, 2018년에 2만 8628명의 환자가 새로이 진단을 받은 폐암은 위암, 갑상선암에 이어 세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암종이며, 남성에서는 위암에 이어 2위, 여성에서는 5위의 호발 암종입니다. 남성의 폐암 발생률은 1999년 이후 꾸준히 감소하고 있으나 여성의 경우는 반대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폐암의 사망률

폐암은 전세계적으로 사망자가 가장 많은 암종으로 전체 암 사망자의18%가 폐암 환자입니다. 한국에서도 폐암은 전체 암 사망 중 1위의 암으로 폐암 사망자 숫자는 꾸준히 증가하였습니다. 연령표준화 폐암 사망률은 남성과 여성 모두 2002년까지는 증가하다가 그 이후부터 감소하고 있습니다. 사망률의 감소는 젊은 연령층에서 먼저 나타나는데, 연령-기간-코호트 모델을 사용한 분석에서 1920년대 출생코호트가 가장 높은 사망률을 보이고 그 이후의 출생코호트는 사망률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폐암의 유병률

폐암은 대표적으로 예후가 좋지 않은 암종으로 알려져 있으나 폐암 조기진단 도입, 분자표적치료제 같은 새로운 약물의 개발과 사용으로 폐암의 생존율은 향상되고 있습니다. 1993-1997년에 진단받은 남성 폐암 환자의 5년 상대생존율은 11.2%에 불과하였으나 2008-2012년에 진단받은 환자에서는 19.3%로 증가하였으며, 여성 폐암의 경우는 같은 기간에 14.7%에서 28.2%로 상승하였습니다. 생존율 향상은 모든 조직학적 형태에서 나타나나 선암이 가장 높은 예후 향상을 보입니다.  전세계적으로 약 260만명의 폐암 유병자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틀 중 58.2%가 아시아에 거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폐암의 위험요인

-흡연: 흡연은 대표적인 폐암의 위험요인으로 폐암 사망에 대한 기여위험율이 80%가량 됩니다. 다만 한국이나 중국과 같이 여성 흡연율이 낮은 지역에서는 여성 폐암에 대한 흡연의 인구집단 기여위험율이 20%정도입니다. 폐암의 조직학적 형태에 따라 흡연과 관련성의 강도가 차이 나는데 가장 강한 관련성을 보이는 암종은 편평세포암과 소세포암으로, 하루 30개피 이상의 흡연자에서 비흡연자에 비해 암 발생 위험도가 63-111배가 증가합니다. 선암의 경우 흡연과 관련성의 강도가 편평세포암에 비해 낮다고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30개피 이상의 흡연자에서는 폐암 위험도가 19-21배 상승하는 강한 관련성을 보입니다.

 

-국제암연구소 분류에 의한 폐암과 관련된 1급 발암물질

인체에 대한 충분한 증거가 있는 발암물질 실리콘카바이드 생산공정
알루미늄 생산
비소 및 무기 비소 화합물
석면(모든 형태)
비스(클로로메틸)에테르; 클로로메틸 메틸 에테르(기술 등급)
베릴륨 및 베릴륨 화합물
카드뮴 및 카드뮴 화합물
크롬(VI) 화합물 석탄 가스화
석탄, 가정용 연소로 인한 실내 배출
석탄 가스화
콜타르 피치
코크스 오븐 개스(coke 생산)
디젤 엔진 배기가스
Haematite 광산(지하)
철강 산업
MOPP(빈크리스틴-프레드니손-질소머스타드-프로카르바진 혼합물)
니켈 화합물
아편(소비)
실외 대기 오염
페인트 작업
실외 대기 오염 중 입자상 물질(PM)
플루토늄
라돈-222 및 그 붕괴 생성물
고무 생산 산업
실리카 결정 먼지
그을음
유황 겨자
담배연기
간접흡연
용접 흄
방사선:X-선, 감마-선
인간에 대해 증거가 제한된 물질 산성 미스트(강한 무기질)
아트 글라스, 유리용기 및 압착기(제조)
벤젠
바이오매스 연료(주로 목재): 가정용 연소로 인한 실내 배출
역청: 산화 역청에 대한 직업적 노출 및 루핑 중 배출
역청: 경질 역청에 대한 직업적 노출 및 매스틱 아스팔트 작업중 배출
탄소 전극 제조
알파-염소화 톨루엔 및 염화벤조일(복합 노출)
텅스텐 카바이드가 포함된 코발트 금속
크레오소테스
디아지논
섬유질 탄화규소
튀김: 고온배출
히드라진
살충제: 비-비소, 분무 및 적용 분양의 직업적 노출
인쇄 공정
2,3,7,8-테트라클로로디벤조파라-디옥신